BioFrontier(24)
-
변화의 시작점, 팬데믹은 끝나지 않았다
2019년 말부터 시작된 코로나19는 전 세계를 멈춰 세웠습니다. 이 사태는 단순한 감염병 위기를 넘어, 의료 시스템의 구조, 과학 기술의 역할, 인간의 삶의 방식까지 근본적으로 흔들어 놓았습니다. 그러나 역설적으로 이 거대한 위기는 기술의 진보를 전례 없이 가속화시켰습니다. 특히 생명과학과 디지털 헬스케어 분야는 비약적인 발전을 이루며, 감염병 대응의 새로운 장을 열고 있습니다. mRNA 기술의 등장과 백신 개발의 혁신 기존의 백신은 병원체의 일부를 배양하거나 비활성화해 면역 반응을 유도하는 방식이 주를 이루었습니다. 하지만 mRNA 기반 플랫폼은 전혀 다른 접근 방식을 제시했습니다. 빠른 개발 속도유전자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전통적인 방식보다 몇 배 빠르게 후보물질을 만들 수 있습니다. 유..
2025.07.01 -
고령화 사회와 불멸에 대한 인간의 열망
전 세계는 점점 더 고령화의 파고를 맞이하고 있습니다. 기대 수명이 늘어나면서 많은 분들이 단순히 오래 사는 것을 넘어 ‘어떻게 존재할 것인가’에 대한 고민을 시작했습니다. 특히 과학기술의 발전은 생물학적 한계를 넘어 의식을 디지털화하고, 이를 통해 새로운 형태의 불멸을 꿈꾸게 하고 있습니다. 마인드 업로딩(Mind Uploading)이라 불리는 이 기술적 도전은 생명과학, 컴퓨터 공학, 철학까지 넘나드는 큰 화두로 자리 잡았습니다. 마인드 업로딩, 상상에서 실험실로 마인드 업로딩은 인간의 뇌를 데이터화해 컴퓨터나 클라우드에 저장하고, 이를 통해 물리적 신체의 소멸 이후에도 의식이 지속되도록 하는 구상입니다. 이 개념은 오랫동안 공상과학 영화나 소설의 소재였지만, 최근 뇌 스캔, 신경망 분석, 슈퍼..
2025.06.30 -
AI 신약 개발 혁명과 생명 윤리 논쟁: 제약 산업의 미래를 묻다
세계 각국은 빠른 고령화로 인한 만성질환과 복합 질병의 급증이라는 공통의 도전에 직면하고 있습니다. 암, 치매, 심혈관계 질환 등은 기존의 치료법으로는 한계가 분명하며, 사람들은 보다 안전하고 효과적인 치료제의 등장을 간절히 기다리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인공지능이 신약 후보물질을 발굴하는 기술은 제약업계를 넘어 사회 전체의 관심을 끌고 있습니다. AI의 약물 설계, 어떻게 작동하는가? AI 기반 신약 개발은 방대한 데이터셋을 학습하여 새로운 화합물 구조를 예측하거나, 기존 약물의 새로운 용도를 탐색하는 데 활용됩니다. 머신러닝과 딥러닝은 수십억 개의 화학 조합을 분석해 최적의 후보를 선별하며, 이 과정은 전통적인 연구 방식에 비해 시간과 비용을 획기적으로 줄여줍니다. 예컨대 코로나19 팬데믹..
2025.06.29 -
개인 유전자 정보, 상업적 활용 논란과 윤리적 물음
전 세계적으로 인구의 고령화가 가속화되면서 질병 예방과 맞춤형 치료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DNA 분석 서비스와 유전자 기반 건강 관리 시장은 눈부신 성장을 거듭하고 있습니다. 특히 북미, 유럽, 아시아 주요 국가에서는 소비자가 직접 자신의 데이터를 제공하고 결과를 받아보는 방식의 사업 모델이 크게 확대되었습니다. 이러한 서비스는 개인별 질병 위험, 식습관, 운동 방식 등까지 세분화된 권고안을 제공하며 사람들의 호기심과 수요를 자극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민감한 유전 정보가 상업적 용도로 거래되거나 2차적으로 활용되는 문제도 부각되고 있습니다. 고령 사회에서 건강을 지키기 위한 노력은 필수가 되었지만, 그 과정에서 개인의 데이터 주권과 사생활 보호는 새로운 도전 과제로 떠..
2025.06.28 -
맞춤 임신 시대: 기술, 생명 선별, 그리고 윤리적 질문
현대인의 평균 수명 연장과 출산 연령 상승은 전 세계적으로 인구 구조에 큰 변화를 초래하고 있습니다. 특히 한국을 포함한 여러 국가에서 고령 임신, 난임 증가, 출산율 저하 문제가 심각해지고 있습니다. 대체로 35세 이후 여성의 생식력은 급감하며, 고령 산모에 대한 임신 합병증 위험도 증가하기 마련입니다. 이러한 상황은 생식보조기술(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y, ART) — 즉, 시험관아기(IVF), 배아선별(PGT), 맞춤적 배아 편집 등 — 활용도를 크게 확대시키고 있으며, 과학은 그 속도를 더해가고 있습니다. 배아 선별과 생명 가치의 계층화 착상 전 유전자 진단(PGT)과 선택PGT는 2019년 유망한 기전만을 골라냄으로써, 유전 질환 위험을 낮추는 데 사용됩니다..
2025.06.27 -
생명 사이의 경계: 인간·돼지 융합 장기와 윤리적 딜레마
전 세계적으로 평균 수명이 길어지면서, 노년층이 겪는 장기 기능 저하 문제는 심각한 사회적 과제로 떠올랐습니다. 만성 질환이나 심장·신장 기능 악화로 인해 이식 수요가 폭증하지만, 인체 기증자의 부족으로 인해 수많은 생명이 대기자로 머무르고 있습니다. 이러한 현실은 돼지에 인간 유도만능줄기세포(iPSC)를 주입해 맞춤형 장기를 키우는 키메라 기술이 주목받는 이유입니다. 키메라 기술의 원리와 적용 가능성 실험실에서 장기 배양: 핵심 과정iPSC 주입 & 크리스퍼 기술을 활용한 유전자 편집으로, 돼지 태아의 특정 장기 생성을 억제하고 인간 장기로 대체하게 유도합니다. 쥐-쥐, 설치류 내 실험을 성공적으로 마치고, 2017년 인간-돼지 배아 실험에 이르러 이식용 장기 가능성을 보여주었습니다. 이때 인간..
2025.06.26